(APM + ITS + SVN 설치 따라하기) 1. 아파치 서버 설치하기
회사에 ITS와 그 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,
APM + 기타 등등을 설치 하게 되었습니다.
설치를 해보니, 이거 뭐 만만치가 않은 작업이네요…
잊지 않기 위해 포스팅~
우선, 적용 시스템 사양은
AMD Athlon 3800+EE
WindowsSvr 2003 EE
2Gbyte Memory
입니다.
설치될 프로그램들은
Apache + Tomcat + Mysql + PHP + Eventum + Zeroboard + SVN + WebSVN
휴…… 많네요…
이제 시작합니다~
< 아파치 서버 설치하기 >
문서 내용 :
a. 아파치 서버 프로그램 설치
b. 웹문서 폴더 임의 설정
c. 정상설치 되었는지 확인하기
기본 준비물 :
공식 홈페이지 : http://www.apache.org/
ReadMe First : http://mirror.apache-kr.org/httpd/binaries/win32/README.html
Download Url : http://ftp.kaist.ac.kr/pub/Apache/httpd/binaries/win32/
설치는 다음 파일을 기준으로 합니다
apache_2.2.8-win32-x86-openssl-0.9.8g.msi
위의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하면~
쭉쭉쭉쭉~ 기본적인 화면들을 기본적으로 패스하고~
네트워크 도메인 설정을 합니다.
기본적으로는 서버로 사용될 PC의 아이피로 설정하면 문제 없겠네요
쭉쭉쭉쭉~ 기본설정으로 마무리합니다.
아파치 서버 자체는 설치가 아주 쉽네요,
앞으로, 다른 부분들이 문제…
설치가 끝나면, 트레이에 아파치서버의 작동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볼 수 있습니다.
또한 이 서비스 모니터를 통해 서버의 작동을 관리할 수 있죠.
< 아파치\conf\httpd.conf >
사용 편의를 위한 설정 부분입니다.
저는 사용할 때 아파치 프로그램과 웹문서를 별도로 관리합니다.
백업을 용이하게 하고, 웹문서를 정리하기 위함이죠.
기본적으로 설치 디렉토리의 htdocs로 설정된 웹문서 폴더를
임의의 폴더로 재배치 한 모습입니다.
요 부분도 수정을 해줘야 정상작동합니다.
이렇게 수정이 완료되면, 서비스 모니터를 통해 아파치를 재시작하고,
설정된 디렉토리에 시험용 웹문서를 만들어봅니다.
정상 작동 한다고 하네요,
위에 설치하기로 한 프로그램들 중에 가장 쉬운것중의 하나를 끝냈습니다.